

앞서 서버 OS 업데이트와 설정을 마쳤으니 이제 웹서버 프로그램을 깔아보려 합니다. 원래 아파치라는 프로그램을 많이 쓰는데, 엔진엑스가 새롭게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하네요.
설치할 Nginx 버전 확인해보기
제일 먼저 할 일은 우리가 설치하려고 하는 Nginx의 버전을 확인해보는 일입니다.
sudo apt-cache policy nginx

저는 1.18 버전이 뜨네요. 이제 이런 패키지를 받아다주는 apt-get 을 업데이트 해줘야 합니다.
sudo apt-get update

Nginx 설치하기
다음으로 Nginx를 설치해보겠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 후 continue?를 물어보면 Y를 입력해줍니다.
sudo apt-get install nginx


이렇게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된 버전을 한 번 확인해보겠습니다.
nginx -v
이제 크롬 등 웹브라우저에서 본인의 서버 아이피로 접속해보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옵니다. 잘 설치가 되었다는 뜻이죠.

SFTP로 접속해서 폴더구조 확인하기
그러면 저 브라우저에서 띄워주는 파일은 어디에 위치하고 있을까요? 이제 FTP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서버 내 폴더와 파일 구조를 들여다봅시다.
먼저 파일질라를 설치 후 진행합니다. [파일질라 받으러 가기] 윈도우 용 파일질라를 받아 실행한 뒤 메뉴에서 파일 > 사이트 관리자로 들어갑니다. 아래 창이 뜨면 [New Site]를 누릅니다.
프로토콜은 SFTP / 호스트는 서버 아이피 / 포트는 22 / 로그온 유형은 키 파일 / 사용자는 ubuntu / 키 파일은 PEM 파일 위치를 지정해줍니다. (PEM 파일 권한 설정은 지난 글을 참조해주세요.) 그렇게 한 후 연결을 누르면 접속이 됩니다.

접속 후에 var/www/html로 찾아 들어가면 index.nginx-debian.html 파일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html 폴더 안에 있는 파일이 웹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것이었군요.

SFTP로 파일 편집하기 위한 권한 변경
이 sftp 접속의 경우 모든 권한을 가진 root사용자가 아니라 ubuntu사용자로 접속하는 것입니다. 이후에 여러 설정 변경을 위해 sftp 접속 후 파일을 변경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금 권한 설정을 해두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난 번에 사용한 윈도우 cmd를 이용하거나, 아마존 라이트세일에서 제공하는 SSH를 이용해 접근하면 됩니다. 이번에는 라이트세일 홈페이지에서 접속해보겠습니다. [SSH를 이용한 서버접속]과 [리눅스 서버 명령어에 대한 지식]에 대해서는 스위프트 님의 글을 참고하면 좋습니다.
이제 아마존 라이트세일에 접속합니다.

자신의 인스턴스에 들어가면 (여기서는 moi.today) 아래와 같이 SSH를 사용하여 연결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접속이 됩니다.
이제 이 터미널 창에서 폴더 내용을 보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ls -l /var/
그러면 아래와 같이 폴더와 파일이 뜹니다. 여기서 /www/ 폴더의 소유자와 사용자 그룹을 바꾸려고 합니다. 아래를 실행해보면 소유자와 사용자 그룹이 root에서 ubuntu로 바뀐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sudo chown -R ubuntu /var/wwwsudo chgrp -R ubuntu /var/wwwls -l /var

다음에는 PHP를 설치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