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i today > IT > AWS > LEMP (2) 윈도우 cmd에서 우분투 서버 접속 및 서버 세팅하기(+ pem 파일 권한 수정)

LEMP (2) 윈도우 cmd에서 우분투 서버 접속 및 서버 세팅하기(+ pem 파일 권한 수정)

지난 글에서 아마존 웹 서비스 라이트세일에 우분투 인스턴스를 만들었습니다. 지금 웹 서버에는 우분투라는 운영체제만 외로이 설치된 상태입니다.

윈도우 10에서 cmd 창을 통해 이 서버에 접속해보려고 합니다. 이때 저번에 받은 SSH 키 (확장자는 *.pem) 를 사용해야 합니다. AWS에서 주는 이 열쇠 파일의 권한이 너무 관대해서 이걸 그대로 사용하려고 하면 사용이 안됩니다. 왜 이렇게 만들어 둔 걸까요? 이걸 수정해봅시다.

라이트세일에서 인스턴스에 들어가면 SSH를 사용하여 연결을 해서 서버 설정을 할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FTP 프로그램을 사용해 서버에 접속해 파일도 보고 수정도 하려면 어차피 PEM 열쇠를 써야 합니다. 이 참에 열쇠 파일 설정도 해놓고 cmd로도 한 번 접속을 해보겠습니다. (SSH를 사용하여 연결로 들어가서 해도 하는 방법은 동일합니다.)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201-1024x566.png 입니다.

PEM 파일 권한 수정하기

먼저 저장해 둔 파일을 찾아가서 속성을 눌러줍니다.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01.png 입니다.

속성 > 보안으로 들어갑니다.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02.png 입니다.

아래에 고급으로 들어가서,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03.png 입니다.

아래에 있는 상속 사용 안 함을 눌러줍니다.

그 다음 “상속된 사용 권한을 … 변환합니다.” 를 선택합니다.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04.png 입니다.

이제 Admin과 SYSTEM, 그리고 자신의 계정을 제외한 계정을 다 지워줍니다.

아래와 같이 세 계정만 남겨주세요.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05.png 입니다.

이제 자신의 계정을 눌러서 권한을 바꾸어주어야 합니다. 확인을 누르고, 본인 계정을 누른 다음에 편집을 눌러줍니다. 아래 창이 뜨면 수정, 쓰기의 체크를 풀어줍니다. 절대 모든 권한을 누르지 마시고 저 둘만 체크해제 해 줍니다.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07.png 입니다.

이제 PEM 파일을 사용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우분투 서버에 접속해서 OS 업데이트 하기

다음으로 할 일은 서버에 접속하는 것입니다. 이제 윈도우 검색(돋보기 버튼)을 눌러서 cmd를 눌러주면 명령프롬프트 앱이 뜹니다. 이걸 실행해 줍시다.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08.png 입니다.

cmd 창을 열었으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sh -i 파일주소 ubuntu@서버아이피

잘 실행이 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화면에 표시가 됩니다. 이제 프롬프트 있는 곳이 ubuntu@ip-서버아이피: $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11.png 입니다.

이제 서버의 OS인 우분투 업데이트를 해보겠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같은 걸 명령어를 통해 실행하는 것입니다.

sudo apt update

sudo는 슈퍼유저, 즉 관리자 권한 명령어입니다. 잘 실행이 되었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12.png 입니다.

이어서,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중간에 continue? 물어보면 y를 입력합니다.

sudo apt upgrade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13.png 입니다.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14.png 입니다.

이제 서버 컴퓨터의 시간을 설정해주려고 합니다. 먼저 서버시간을 확인해보겠습니다. UTC라고 나오기 때문에 이를 Asia/Seoul로 바꾸어 주어야 합니다.

date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15.png 입니다.
sudo dpkg-reconfigure tzdata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 Asia를 선택한 다음에 Seoul을 선택해줍니다.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16.png 입니다.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17.png 입니다.

다시 date를 입력해보면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 있습니다.

이미지에 대체텍스트 속성이 없습니다; 파일명은 118.png 입니다.

이제 서버 세팅이 완료되었습니다.

다음에는 웹서버 프로그램인 엔진엑스(nginx)를 설치해보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를 발행하지 않을 것입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