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i today > IT > AWS > LEMP (1) AWS 라이트세일에 우분투 인스턴스 만들기(ubuntu 20.04)

LEMP (1) AWS 라이트세일에 우분투 인스턴스 만들기(ubuntu 20.04)

설치형 블로그를 시작해야겠다 마음 먹었습니다. 웹서버가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지 조금이나마 이해해보려 처음부터 하나하나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워드프레스라는 설치형 블로그 프로그램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와 웹 서버 프로그램, PHP,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이 필요하더군요. 이제부터 하나하나 설치해보려고 합니다. 정말 처음 해보는 사람도 따라할 수 있게 적어보았습니다.

설치환경은 윈도우10 환경에서 브라우저를 통해 AWS에 접속해 + 라이트세일 Ubuntu 20.04 LTS 운영체제 인스턴스에 Nginx 1.18.0 버전, PHP7.4-fpm, MariaDB 10.3.22 버전입니다.

아마존 라이트세일

웹 서버를 개인적으로 구축해 사용하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많은 분들은 호스팅 업체에서 웹 서버를 빌려 사용하실테죠. 저는 아마존(AWS: Amazon Web Service)에서 라이트세일 서비스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왜 [AWS 라이트세일인지], [AWS 라이트세일 요금]이 어떤지는 스위프트 님 블로그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AWS에 회원 가입이 안 되어 있으시면 먼저 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AWS 가입 방법은 스위프트 님의 [아마존 라이트세일에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런저런 글을 참고해보면 아마존 라이트세일이 작은 규모의 블로그나 웹사이트에 적합한 플랜으로 보입니다. 최저 가격이 3.5$에, 5$ 정도만 되어도 여러 블로그를 운영할 정도의 가상 웹서버를 빌릴 수 있습니다. 이후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구글 검색에 잘 나오게 하려면 https 인증서도 설치해야 하는데, AWS 라이트세일에서는 Letsencrypt라는 무료 인증서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몇몇 호스팅 서비스에서는 이걸 막아두어서 유료 플랜을 써야한다고 하더라구요.

LEMP 스택

보통 기본적으로 많이 쓰이는 운영체제, 웹서버 조합은 LAMP 입니다. 리눅스에 아파치를 설치하고, MySQL에 PHP를 설치해 사용합니다. LEMP는 리눅스에 (E)Nginx, MariaDB, PHP를 설치한 형태입니다. 아파치 대신 Nginx, MySQL대신 MariaDB를 사용한 것이죠. 마리아DB는 MySQL과 명령어가 사실상 같다고 하네요.

리눅스라는 운영체제 위에 엔진엑스라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여기에 마리아DB라는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설치해, 이를 PHP를 통해 불러와 우리가 브라우저를 통해 보는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만들어 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게 LEMP 스택입니다. 워드프레스 외에도 다양한 웹 서버 기반 동적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는 기반입니다. 한 번 만들어서 AWS에 스냅샷으로 저장해두면 워드프레스 외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데 쓸 수 있습니다.

서버 인스턴스 만들기

이제 AWS lightsail에 접속합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 라이트세일에 접속한 화면. 아직 아무런 인스턴스가 생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아직 아무런 인스턴스가 없습니다. 인스턴스 생성 버튼을 눌러줍니다.

인스턴스 위치는 서울로 했습니다. 아무래도 한글로 하는 블로그이니 한국에 서버를 두는 게 좋겠죠? 그리고 OS전용을 눌러서 우분투(Ubuntu) 최신 버전을 선택해줍니다. 혹시나 모르는 분도 계실 거 같아서, 우분투는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 배포판 중 하나입니다.

아래에 보면 SSH 키 페어 관리자라는 부분이 보입니다. 이 키는 나중에 FTP 프로그램 등으로 서버에 접속해서 작업할 때 필요한 열쇠입니다. 새로 생성을 눌러줍니다. (그냥 기본값 키를 쓰셔도 좋습니다. 기본값 키는 실수로 삭제하거나 잃어버려도 다시 다운이 가능하지만 새로 생성한 키는 단 한 번 다운로드 가능하고 잃어버리면 복구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생성한 프라이빗 키는 잃어버리면 안됩니다. 다운로드도 한 번만 가능하구요. 저는 원드라이브에 저장해두었습니다. 복사해서 여러 곳에 두시길 바랍니다.

LEMP 스택에 워드프레스를 얹어서 쓰려면 5달러 플랜을 선택하면 좋습니다. 앞서 소개한 스위프트 님 글에서는 3.5달러 플랜의 경우 메모리 부족으로 서버가 다운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인스턴스 생성을 누르면 인스턴스가 생성됩니다. 처음에는 잠시 회색으로 접속이 안되는데 몇 분 내로 서버가 생성되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은 갓 생성된 우분투 서버 인스턴스입니다.

다음에는 우분투 서버에 접속해보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를 발행하지 않을 것입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